Surprise Me!

[팩트맨]도로에 쌓인 눈보다 ‘어는 비’가 위험하다?

2022-12-21 1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팩트맨, 경부고속도로 서울요금소에서 시작합니다. <br> <br>오늘 수도권에 눈이 내렸지만, 고속도로는 바로 녹아서 지금은 노면이 젖어있는 상태인데요. <br> <br>남부지방은 눈 대신 비가 내렸죠. <br> <br>이렇게 추운 날 내린 비는 눈 만큼이나 위험할 수 있다는데, 왜 그런지 스튜디오로 옮겨 알아봅니다. <br><br>이른바 '어는 비'는 기온이 0도에서 영하 5도 사이에 비가 내릴 때 생성됩니다. <br> <br>기온이 낮은 대기 상층부에서는 눈이었다가, 따뜻한 중간층을 지나면서 비로 변하고, 차갑게 냉각된 도로 표면에 부딪쳐 얼어버리는 겁니다. <br> <br>싸락눈이나 진눈깨비와는 달리, 얼음 결정이 아닌 액체 형태로 내린다는 차이가 있습니다. <br> <br>어는 비나 눈이 쌓여 도로에 살얼음이 끼면 겨울철 교통사고의 주범, 블랙 아이스로 변하는데요. <br> <br>지난 2019년 상주영천고속도로와, 2020년 합천의 국도에서 발생한 연쇄 추돌 사고 모두 비가 얼어 만들어진 블랙아이스가 사고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. <br> <br>눈은 쌓여도 얼기 전에 치우면 되지만, 어는 비는 내리는 즉시 얼어 사고 위험성이 더 높다는 분석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어는 비는 산으로 둘러싸여 찬 공기가 고이는 분지 지형에서 만들어지기 쉽고요. <br> <br>볕이 잘 들지 않거나, 바람이 많이 부는 고속도로 교량과 터널 진출입구에서 자주 발생합니다. <br> <br>[변희룡 /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명예교수] <br>"얼기 직전 땅에 와서 딱 붙어버리면 이게 미끌미끌하고 반질반질하고 아주 위험한 건데요. 산악지방에 그늘진 곳에서는 겨울 내내 도로가 얼어붙어 있는 곳도 있고요." <br> <br>기상청이 어는 비 예보를 하고 있지만, 어느 도로가 얼 것 같다는 수준까지 예보하기는 어렵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평소 이용하는 도로의 상습 결빙구간을 미리 확인했다가, 규정 속도의 절반 이하로 차량 속도를 줄여 방어 운전을 하는 게 안전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입니다. <br> <br>팩트맨이었습니다. <br> <br>연출·편집 : 박혜연 PD <br>구성 : 임지혜 작가 <br>그래픽 : 권현정 박정재 디자이너 <br>영상취재 : 홍승택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